52/55 페이지 열람 중
코로나19 관련 폐기물 안전관리 특별대책(제3판) 수정본과 수정내용을 붙임과 같이 업로드합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3-04 09:19:16환경부의 코로나19 관련 폐기물 안전관리 특별대책(제3판)을 붙임과 같이 송부하오니 반드시 확인하시어 업무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3-02 17:24:49우리 조합원 수집운반 업체 5개 대표자 이자, 수도권 지역 소모임인 대표님들께서 '코로나19' 사태의 빠른 극복을 위한 찬조금 1백만원을 조합으로 지원해 주셨습니다. 두만산업위생공사 이승호 대표님, 서울그린산업 김용열 대표님, 서울위생 신성현 대표님, 예닮환경 맹준호 대표님, 해승산업 박삼수 대표님 (업체명 가나다순) 이상 5개 업체 대표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보내주신 지원금은 폐기물의 안전한 처리를 위한 개인보호장비 SET 수급 및 배급, 대구/경북지역 인력지원 등을 위해 사용…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2-28 15:45:52[환경부] 최근까지의 코로나19 관련 동향을 반영한 '코로나19 관련 폐기물 안전관리 특별대책' 개정안(제2판)을 붙임과 같이 전해드립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2-24 10:42:23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 2020년도 정기총회가 다음과 같이 개최되오니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 다 음 - ○ 일 시 : 2020년 2월 4일(화) 오후 4시 ○ 장 소 : 대전 선샤인호텔 2층 루비홀(대전광역시 동구 동서대로 1700) ○ 문 의 : 042-623-5553. 끝.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1-30 09:51:21(환경부)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관련으로 폐기물에 대한 특별대책을 수립하여 알려드리니,즉시 이행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특별대책 관련 문의 사항은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김정민 주무관(044-201-7362) 김유경 사무관(044-201-7367)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20-01-29 09:14:50전국 60여곳 방치 현장 불철주야 비지땀…피해 최소화 환경부, 컨트롤타워―소각․매립 고통분담위원회 공조 [에너지데일리 조남준 기자] 환경부와 민간 소각‧매립단체로 구성된 ‘재활용방치폐기물 고통분담 비상대책위원회’가 연내 120만톤 방치폐기물의 전량처리는 어렵지만 정해진 목표 달성에 근접코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민간 소각‧매립 단체로 구성된 ‘재활용방치폐기물 고통분담 비상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박무웅 이사장・이민석 회장・안병철 이사장)에 따르면 정부가 120만톤 재활용방치폐기물 전량을 연내 처리하는 것은 어려우나 90여만 톤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9-12-26 09:18:52한국의료폐기물 공제조합원 간담회를 2018.6.26(화)15:00, 대전 호텔선샤인에서 조합원 42개조합사가 참여한 가운데 우리업계 발전방향 및 의료폐기물현안 문제에 대한 간담회가 열렸습니다. 간담회 회의자료는 환경정책자료실을 방문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 조합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조합원은 회원가입후아이디(ID)를 조합에 통보하여 주시면 자료를 받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6-27 14:23:56***** 연구용역자료 게시 안내 *****ㅇ감염성 폐기물 위해성 평가 연구용역(2007년 서울대 성승용 책임연구원)자료 및 의료폐기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용역(환경부, 2013년)자료를 정부정책자료에 게시하였습니다. 한국의료페기물공제조합 조합원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6-29 11:49:44황수연 복지행정팀 기자“새로운 항생제 내성균 출현 속도는 항생제 신약의 개발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이 빠르다.”5일 자유한국당 이명수 의원이 주최한 ‘급증하는 항생제 다제내성균 감염,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토론회에서 고려대 의대 최원석 교수는 이렇게 경고했다.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가 점차 증가한다는 뜻이다. 이런 균의 온상 중의 한 곳이 요양병원이다.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중증환자가 많은 종합병원과 요양병원에서 카바페넴(항생제의 일종) 내성률이 83%에 달한다”고 지적한다. 요양병원 환자의 상당…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9-09-06 11: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