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5 페이지 열람 중
안녕하십니까? 저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대구)에서 시설을 관리하는 최정기 입니다. 오늘 드릴 질문은 질문 1. 본 연구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화공약품[아세톤,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acetonitrile)]으로 순수하게 한약재(인삼, 당귀, 등)의 성분을 추출 또는 검사 등의 연구 를 마치고 나오는 부산물을 지정폐기물 또는 의료 폐기물 어느쪽으로 분류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2. 화공약품[아세톤, 메탄올, 아세토나이트릴 (acetonitrile)]이 실험 연구에 사용되고 배출 되는 과정에서 …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17 10:38:25요양병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벌서 3주째 의료폐기물을 수거해가지 않습니다. 폐기물 업체는 소각장의 처리능력이 부족하여 어쩔 수 없다는 식입니다. 전부터 소각장의 부족 및 폐기물 업체의 담합으로 업체를 바꿀 수도 없는 실정입니다. 이미 의료업종은 폐기물업체는 바꿀 수 없다는 게 정설입니다. 한번 업체가 정해지면 다른 업체로 옮기려해도 받아주지 않습니다. 소각장의 부족으로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다는 게 그 이유라고 합니다. 이미 폐기물업체에서는 금년에만 처리비용을 60% 인상하였습니다. 그럼에도 폐기물 처리는 이처럼 형편없습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14 09:32:12폐기물 관리법에 의거하여 실시되는 의료폐기물 배출자 법정교육 관련한 질문입니다 최초지정폐기물 처리계획서를 제출한경우 1년 6개월이내에 한번교육을 받도록되어있는데 사업자가 해당지역에서 병원을 개업한 후 의료폐기물 배출자 교육을 수료하였으나 동일한 사업자가 다른지역으로 이전할 경우 이전한 지역의 행정기관에 처리계획서를 제출한다면 교육을 다시 받아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14 09:30:27치과에서 현재 계약 중인 의료폐기물 처리업체에서 기존 거래 가격에 4,5배에 달하는 인상을 요구하여 타 업체들을 문의 해봤지만 기존 거래처에서 계약이 끝나더라도 업체변경은 못해준다며 하다가 자기 업체들 처리 한도가 넘어서 못한다고 말을 돌립니다. 한두군데도 아니고 여섯 곳 이상의 업체가 같은 반응으로 거절하더군요. 인터넷 검색해보니 몇년전부터 이런식으로 악용하여 당하는 병원이 한두군데가 아니던대 아직도 조치방법도 없는건가요.?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14 09:24:49냉장보관하는 용기의 경우 도형아래 인쇄나 스티커 부착하도록 되어 있는데. 1. 보관창고나 장소가 냉장상태인경우 모두 부착해야하는지~ - 냉장 보관창고나 장소인경우 조직물류, 격리의 경우만 냉장표기하면되는지 궁금합니다. 2. 인쇄나 스티커가 아닌 용기에 지워지지 않는 펜으로 기재해도 되는지~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14 09:16:061. 정도관리 물질 사용후 용기는 의료 폐기물인가요? 2. 화학이나 면역 장비에 사용하는 시약은 의료 폐기물인가요? 3.미생물부에서 사용하는 혈액배양용기도 의료 폐기물인가요? 4.위 항목 사용하지 않았으나 폐기해야 할경우도 의료폐기물로 배출해야 하나요?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03 15:40:01개인 치과의원을 운영중입니다. 요즘 의료폐기물 분리에 관한 공문이 많이 오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1. 치과 의료인(의사, 위생사) 가 사용한 마스크와 글러브에 혈액이 묻지않은 경우는 의료폐기물인지, 아니면 일반 폐기물인지 궁금합니다. 일반 폐기물인 경우 종량제 규격봉투에 버려도 되는 건가요? 2. 만일 글러브에 혈액은 아닌데 환자이 타액(침)만 묻은 경우에는 의료폐기물로 분류해야 하는지 일반 생활 폐기물로 버려도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3. 치과 마취용 리도카인 유리 앰플의 경우는 의료 폐기물인가요? 4. 의원에서 …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03 15:37:111. 조직물류폐기물 보관냉장고 규격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현재, 저희 병원에서 사용중인 냉장고는 음료용 보관 냉장고이며, 4℃ 전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타병원에 문의한 결과 의료용 냉장고를 구비한 병원도 있으며, 그렇지 아니한 병원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페기물 관리 관련하여 의료용 전용 냉장고를 구비하여야 하는건가요? 2. 가끔씩 4℃ 가 넘어가는 경우가 있는데요(입출고 시, 냉장고 문을 여닫을 시 등등)반드시 항상 4℃ 이하로만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9-03 15:34:38저는 의료폐기물 수집/운반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더운날씨에 고생이 많은줄 알지만... 현장보다 조금 앞선 상황인식 및 조치를 부탁드리며 글을 남깁니다. 올해 추석은 알다시피 작년과 동일하게 장기휴무가 예상됩니다. 이에 저희같은 수집/운반업체에서는 보관일과 관련하여 수거업무를 진행하기 곤란한 상황입니다. 굳이 설명을 안들려도 아시리라 믿습니다. 작년에도 동일한 일이 발생이 예상되어 이와같은 방식으로 문의를 드려서 간신히 명절 전에 답장을 받은 기억이 아직있습니다. 올해는 조금 일찍 조치가 있을까? 예상을 해보았으나... 바쁘실것 …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8-22 09:12:17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질의 하였는데 몇가지 더 궁금한 사항이 있어 다시 질의 드립니다. 1. 이번에 나온 지침에 의료폐기물 분류관련, 생물화학 폐기물기준에 폐화학 치료제의 범위를 묻는 내용이 있었는데 그 내용 중 항생물질(페니실린), 반합성유도체(세포티암) 를 폐화학 치료제에 해당 분류 해놓았던데 흔히 사용하는 약물중에 하나라 이제제들을 일반폐기물이 아닌 생물, 화학폐기물로 분류해서 폐기해야 하는가요? 2. 환자에게 접촉되지 않은 베타딘볼은 일반폐기물로 분류해도 되나요? 3. 수술실에서 사용했던 일회용 모자, 마스크는 의료폐기물로 …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전체게시물 2018-08-13 10:24:43